주일설교

8월 24일 "악한 꾀를 제거하기를" (에스더 8장 3절~8절)

관리자
2025.03.23 09:43 549 0

본문



"악한 꾀를 제거하기를" (에스더 8장 3절~8절)
3 에스더가 다시 왕 앞에서 말씀하며 왕의 발 아래 엎드려 아각 사람 하만이 유다인을 해하려 한 악한 꾀를 제거하기를 울며 구하니
4 왕이 에스더를 향하여 금 규를 내미는지라 에스더가 일어나 왕 앞에 서서
5 이르되 왕이 만일 즐거워하시며 내가 왕의 목전에 은혜를 입었고 또 왕이 이 일을 좋게 여기시며 나를 좋게 보실진대 조서를 내리사 아각 사람 함므다다의 아들 하만이 왕의 각 지방에 있는 유다인을 진멸하려고 꾀하고 쓴 조서를 철회하소서
6 내가 어찌 내 민족이 화 당함을 차마 보며 내 친척의 멸망함을 차마 보리이가 하니
7 아하수에로 왕이 왕후 에스더와 유다인 모르드개에게 이르되 하만이 유다인을 살해하려 하므로 나무에 매달렸고 내가 그 집을 에스더에게 주었으니
8 너희는 왕의 명의로 유다인에게 조서를 뜻대로 쓰고 왕의 반지로 인을 칠지어다 왕의 이름을 쓰고 왕의 반지로 인친 조서는 누구든지 철회할 수 없음이니라 하니라

에스더는 아하수에로에게 모르드개와 관계를 밝히고 모르드개와 하만이 몰락하는 것을 목격합니다. 하만이 준비한 장대에 자기가 매달리는 아픔을 보면서 우리 지혜보다 크신 하나님 은혜를 바라보는 시간이 되기를 원합니다.

1. 호소(3-4절)
에스더가 여전히 멸절 위기 가운데 왕 마음이 바뀌기 전에 유대인 멸절을 피하여야 한다는 에스더의 절박감으로 청원합니다. 에스더가 왕 발아래 엎드린 것은 왕에 대한 존경이나 겸손함만의 표현이 아니라 애원이 강한 것으로 하만이 장대에 매달렸음에도 유대인을 해하려 한 조설를 해결하기 위해 울며 간구하는 에스더입니다.
에스더가 무릎을 꿇고 땅에 엎드려 구원을 위해 울며 구하는 것을 보고 손에서 내민 금규는 왕권 상징으로 항상 휴대하고 다니는 짧은 지팡이로 생명을 보호하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왕이 에스더 청원을 들어주느냐는 조서를 취소하는 해서 정책적으로 간단한 문제가 아닌 것이기에 왕이 긍휼을 내린 후 에스더가 물리적 행동으로 존경으로 서 있는 것입니다.

2. 철회(5-6절)
왕이 만일 즐거워하시면 내가 만일 왕의 묵전에 은혜를 입었으로 왕이 선히 여기시거든 자신을 기쁘게 여기고 있다면 적극적으로 자신 요구에 응해 달라는 청원을 격식있는 언어로 말문을 연 에스더는 본론으로 들어가 조서를 취소해 달라는 간청을 하고 있습니다. 아각 사람 함무다다 아들 이라는 긴 어구는 조서 발행자가 하만이라는 사실을 강조하면서 하만이 눈과 귀를 가리고 그 뜻대로 내린 것이라 왕이 취소하여도 어명을 번복하는 일이 아님을 강조합니다. 만일 조서가 취소되지 아니하면 일어날 사태는 눈뜨고 볼 수 없는 멸망당함을 언급하면서 에스더는 그 일이 속히 중단되어야 만 할 것을 왕에게 더욱 속히 중단되어야 함을 간구와 호소를 하고 있습니다.

3. 조서(7-8절)
인장반지를 아무에게 주는 왕, 간신과 충신을 구분못하는 왕을 신뢰할 수 없는 상황에 에스더 요청이 결코 쉽지 않은 것을 알지만 아하수에로 왕은 하만 집을 에스더에게 주고 있습니다. 왕은 자신이 할 수 있는 일은 다 하였지만 조서를 철회하는 것은 반영할 수 없음을 표현하기도 합니다.
조서를 쓰는 주체가 왕이 아닌 에스더와 모르드개임을 강조하면서 해결을 위임합니다.

하만이 행한 일을 길게 나열하면서 아하수에로 왕의 감성적인 대답이 연속적으로 나오는 것은 왕의 이름으로 반포되는 조서는 취소할 수 없다는 점을 활용하여 방도를 찾아 보라는 것입니다. 오늘 우리들도 우리들의 일을 합리화하기보다는 하나님이 우리에게 하시는 말씀을 따라갈 수 있기를 축원합니다.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