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일설교

8월 3일 "왕후 와스디" (에스더 1장 9절~13절)

관리자
2025.03.23 09:43 500 0

본문



"왕후 와스디" (에스더 1장 9절~13절)
9 왕후 와스디도 아하수에로 왕궁에서 여인들을 위하여 잔치를 베푸니라
10 제칠일에 왕이 주흥이 일어나서 어전 내시 므후만과 비스다와 하르보나와 빅다와 아박다와 세달과 가르가스 일곱 사람을 명령하여
11 왕후 와스디를 청하여 왕후의 관을 정제하고 왕 앞으로 나아오게 하여 그의 아리따움을 뭇 백성과 지방관들에게 보이게 하라 이는 왕후의 용모가 보기에 좋음이라
12 그러나 왕후 와스디는 내시가 전하는 왕명을 따르기를 싫어하니 왕이 진노하여 마음속이 불 붙는 듯하더라
13 왕이 사례를 아는 현자들에게 묻되 (왕이 규례와 법률을 아는 자에게 묻는 전례가 있는데

에스더의 전반적인 배경과 페르시아 4대왕 아하수에로 왕이 두 번에 걸쳐 큰 잔치를 배설하였고 에스더가 왕후 즉위할 수 있는 배경으로 왕후 와스디가 왕명을 불응하고 폐위하는 사건 발생하였습니다. 와스디의 모습을 보며 오늘 우리를 살펴 보고자 합니다.

1. 잔치(9-10절)
아하수에로 왕이 두 번 잔치를 베설한데 이어 왕후 와스디도 부녀를 위한 잔치를 배설하였는데 에스더가 왕후 즉위를 정당화하기 위한 과장으로 와스디는 매우 잔인하다며 예를 들었을수도 있습니다.
와스디가 폐위되는 근본 원인인 왕 명령을 불복한 구체적 시간으로 그날 잔치 제 칠일에 127지방을 다스리는 왕과 신하들이 180일간 계속된 잔치가 끝나고 7일 지속된 잔치였습니다. 성경에서 내시는 조선시대 내시보다 넓게 왕궁 대신이나 왕 측근을 가리키는 말로 사용하지만왕후 처소를 출입할 수 있어 환관으로 수종드는 사람이었습니다.

2. 명령(11절)
주흥에 빠진 왕은 왕후가 의복을 정제하고 나와 자신을 위해 백성과 방백에게 보이라는 명령은 왕후 와스디 용모가 아름다움을 보이라고 요구한 것입니다. 아름다움을 보이려는 것이 왕비를 위한 것이 아닌 참석한 사람들에게 자신을 과시하기 위했는데 와스디는 술취한 사람들 앞에 나오라는 명령은 왕후 외스디 입장에서 수치스럽다고 생각하게 되어 명령을 불복하게 되었습니다.

3. 불응(13절)
술 취해 백성과 신하들 앞에 나와 아름다움을 보여달라는 왕의 부적절한 명령에 와스디는 싫어하여 즉각적인 행동으로 불응하였습니다. 와스디가 왕명을 거절한 이유는 페르시아 관습상 남자들 잔치에 여자가 동석하는 것은 금기시하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였습니다. 와스디는 법도상으로 어긋날 뿐 아니라 술에 취한 사람들 앞에 보이고 싶지 않아 거절한 것입니다. 아하수에로 왕이 외스디 반응을 듣자마자 즉각적으로 분노에 휩싸여 분개하여 마음속에 불붙는 듯하더라는 것은 왕의 분노가 얼마나 컸는지 마음속에서 불에 탔다고 무너진 자존심을 표하고 있습니다.

와스디 불복으로 권위와 자존심이 무너지자 왕은 자신이 제어할 수 없는 극한 분노에 휩싸인 왕은 왕후를 폐위하고 에스더가 즉위하게 되었습니다. 모멸의 시간을 인내하며 나가는 것이 우리 인생이기도 하기에 더위 가운데 좋은 일만 아니라 하기 싫은 일도 때로는 감당할 수 있기를 축원합니다.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